카테고리 없음

Git AWS 클라우드 기반 Devops 개발자 과정 Git GitHub에 업로드 해보기

minkhinformation 2025. 2. 20. 12:00

오늘은 우리가 짜온 코드(폴더)들을 github에 업로드하는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git설치하는 방법

1. 구글에 git 검색 

2. Downloads 클릭

https://git-scm.com/downloads

 

Git -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 Latest source Release 2.48.1 Release Notes (2025-01-13) Download Source Code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in GUI tools (git-gui, gitk), but ther

git-scm.com

 

3. 사용자 운영체제에 맞춰서 클릭

4.  사용자의 환경에 맞춰서 설치 진행오늘은 우리가 짜온 코드(폴더)들을 github에 업로드하는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git설치하는 방법

 

1. 구글에 git 검색 후 클릭

 

2. Downloads 클릭

 

https://git-scm.com/downloads

 

Git -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 Latest source Release 2.48.1 Release Notes (2025-01-13) Download Source Code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in GUI tools (git-gui, gitk), but ther

 

git-scm.com

 

 

3. 사용자 운영체제에 맞춰서 클릭

 

4. 사용자의 환경에 맞춰서 설치 진행

Installer(설치형)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 일반적으로 setup.exe, msi 등의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시스템에 프로그램을 등록함

· Windows 레지스트리에 정보를 추가하고 특정 폴더에 파일을 저장함

Portable(포터블)

· 설치 과정 없이 바로 실행 가능

· 단순히 압축을 풀거나 폴더를 복사하는 것만으로 사용 가능

· Windowd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지 않으며, 대부분 설정 파일을 프로그램 폴더 내에 저장함

 

우리는 이후에도 업데이트 및 유지보수도 해야 하기 때문에 

Installer(설치형)을 이용할 것이다.

·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음

· OS와의 통합이 용이하여 안정적인 환경 제공

Portable(포터블)

· 수동으로 새로운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덮어씌우는 방식이 많음

· 프로그램이 최신 상태인지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음

 

5. 설치 확인 방법 ->명령 프롬프트 실행

6. 명령 프롬프트에서

git --version 

입력 후 엔터

화면과 같이 git version 2.48.1.windows.1 이 나온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었다.

 

이제 GitHub와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구글에 GitHub 검색 후 클릭

2. GitHub 홈페이지 클릭

https://github.com/

 

GitHub · Build and ship software on a single, collaborative platform

Join the world's most widely adopted, AI-powered developer platform where millions of developers, businesses, and the largest open source community build software that advances humanity.

github.com

3. GitHub 로그인하기 계정이 없다면 새로 하나 회원가입하도록 하자

 

4. 새로운 리포지토리(repository)를 만들기

5. 명령 프롬프트

cd 연동할 폴더의 경로 입력

 

6. 명령 프롬프트

git config --global user.name "본인닉네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본인이메일"

 

가입정보에 따라서 다시 설정하기

git config --list 입력한다면 자신이 설정한 정보를 볼 수 있다.

 

7. git 파일 생성하기

git init

. git 파일은 숨김파일이기 때문에 보기-> 표시 -> 숨김항목을 체크하여 숨김파일을 볼 수 있게 해야 보인다.

 

8. GitHub에 접속하여 생성했던 repository의 remote 코드를 복사하여 터미널에서 실행하기

 

9. git push origin main을 입력하여 원격저장소 main에 commit 한 코드를 보내준다. *혹시 에러가 발생한다면 git remote -v를 이용하여 이메일이 적혀있는지 확인 git remote set-url origin https://깃허브닉네임@github.com/레파지토리명. git을 입력 후 다시 git push origin main 해준다.

 

10.  GitHub 새로고침시 커밋데이터가 원격저장소에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11. 프로젝트 내부의 텍스트 파일을 다시 수정하고 1. 'git add .' 2.  'git commit -m "Initial commit" ' 후 ' git push origin main '를 진행해서 commit데이터가 업로드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다음에는 명령프롬프트에서 하는 것이 아닌 간편하게 도와주는 Sourcetre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